728x90
venv 가상환경은 항상 source <폴더명>/bin/activate를 눌러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하지만 일련의 세팅으로 pythoninterpreterpath를 수정하는 방식으로 vscode 특정 디렉토리(루트 디렉토리)를 열때 자동으로 실행되게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1. 우분투(리눅스)
1. 가상환경 폴더와 .vscode 폴더 위치 통일
이렇게 venv 디렉토리인 env311
과 .vscode
폴더가 같은 위치에 위치하게 합니다.
만일 .vscode
폴더가 없다면 폴더 새로 생성을 통해 ".vscode"로 이름을 변경해주면 됩니다.
2. settings.json 파일
.vscode 폴더 안에 파일 만들기를 누르고 settings.json
파일을 생성합니다.
{
"python.defaultInterpreterPath": "~/env311/bin/python3"
}
json 파일 내용을 다음과 같이 작성합니다.
python 위치를 찾는 것이기 때문에 자신의 폴더 이름에 맞게 변경하시면 됩니다.
2. 윈도우
1. 가상환경 폴더와 .vscode 폴더 위치 통일
.vscode랑 가상환경 폴더의 위치는 동일한 위치입니다.
2. settings.json 파일
내부에 있는 .vscode속 settings.json 파일은 다음과 같이 생겼습니다.
{
"python.defaultInterpreterPath": "~~~이전까지의 디렉토리 절대경로\\env311\\Scripts\\python.exe",
"terminal.integrated.profiles.windows": {
"PowerShell Venv": {
"source": "PowerShell",
"icon": "terminal-powershell",
"args": [
"-NoExit",
"-Command",
"& '~~~~이전까지의 디렉토리 절대경로\\env311\\Scripts\\Activate.ps1'"
]
}
},
"terminal.integrated.defaultProfile.windows": "PowerShell Venv"
}
pythonInterpreterPath에 pathon.exe를 넣고 args에 Activate.ps1을 넣는 점이 차이점입니다.
특정 디렉토리를 사용할 때만 적용되는 설정이기 때문에 하나의 프로젝트 폴더에 하나의 가상환경만 사용하신다면 편리한 설정입니다.
728x90
'[Dev] > [가상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CUDA] nvcc 설치 (0) | 2025.05.03 |
---|---|
[가상환경] venv 가상환경 생성 및 실행 (0) | 2025.05.03 |
[venv] 파이썬 가상환경 venv 생성 및 활성화 (0) | 2024.04.01 |
[Anaconda] 윈도우 wsl 우분투에 아나콘다 설치 (Ubuntu 22.04 LTS) (0) | 2024.03.26 |
[git] git과 github 명령어 설명과 정리 (0) | 2023.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