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카테고리

    [Python] in 연산자의 사용법, 예제

    파이썬을 사용하는 개발자라면 누구나 in 연산자를 사용할 거라 생각합니다. in 연산자 사용방법과 사용예를 알아보겠습니다. 1. 반복문에서 사용 예시 data = [ 1, 2, 3, 4, 5 ] for i in data: print(i) 결과 1 2 3 4 5 이렇듯 기본적인 반복문 for 연산자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2. if문과 함께 사용 예시 data = [ 1, 2, 3, 4, 5 ] if 2 in data: print(2) 결과 2 data 리스트안에 2라는 원소를 가지는지 물어보는 if문 입니다. 결과에 만족하면 print(2)를 실행하는 조건을 가지고 있네요. 3. not in도 가능 2번의 연장으로 if문과 조합했을때 in이 아닌 not in도 가능합니다. 예시 data = [ 1..

    [C/C++] const의 위치에 따른 의미 정리

    const란? 값을 변경하지 못하도록 상수화 시키는 명령어입니다. C++에서 const명령의 위치에 따른 의미를 정리하겠습니다. 1. 변수 앞 const const int num = 10; // 변수 num을 상수화 2. *앞 const const int *ptr = &value; // 포인터가 가르치키는 값(실체)가 불변 const int *ptr = &value; 이렇게 적용이 된다. &value의 값이 불변이 되어버렸기 때문에 -> *ptr = 10 ( X ) 하지만 포인터 변수는 자유롭기 때문에 새로운 변수를 포인터에 연결하는 ptr = &value2는 가능하다. 3. *뒤 const int * const ptr = &value; // 포인터 변수가 불변 int * const ptr = &valu..

    2개 이상의 class 파일 분할

    2개 이상의 class 파일 분할

    직전 글에서 C++ 파일 분할하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이번엔 서로 연관 있는 2개의 클래스를 분할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이전 글의 응용이고 특정 조건만 추가해 주면 됩니다. https://hgk5722.tistory.com/27 C++ 파일 분할(visual studio)microsoft visual studio를 이용한 파일 분할 방법을 알아보겠다. 파일 분할이란 긴 코드를 작게 나누어 여러 개의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이다. 어떠한 프로그램이건 하나의 파일에 모든 것을 담진 않는hgk5722.tistory.com 이번에도 visual studio 2022 버전을 사용합니다. 분할 하기전 원형 코드 #include using namespace std; class FruitSeller { privat..

    C++ 파일 분할(visual studio)

    C++ 파일 분할(visual studio)

    microsoft visual studio를 이용한 파일 분할 방법을 알아보겠다. 파일 분할이란 긴 코드를 작게 나누어 여러 개의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이다. 어떠한 프로그램이건 하나의 파일에 모든 것을 담진 않는다. C++도 클래스 별로 헤더 파일과 소스파일을 생성해서 클래스의 선언과 정의를 분리한다. 파일 분할을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긴 코드를 작은 단위로 나눠 가독성을 높게한다. 선언부와 정의부를 분리시켜 코드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공부한 책의 예제를 사진 캡처와 함께 사용법을 공유하겠다. 분할을 하기 전 코드 전체를 보도록 하자.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namespace CAR_CONST { enum { ID_LEN = 20, MAX_SPD ..

    [Python] .isdigit(), .isalpha(), .join() 함수

    파이썬 .isdigit() 메서드 문자열의 구성이 숫자인지 확인하는 메서드, 리턴 값도 bool값입니다. 음수를 나타내는 " - " 표시나 소수점을 나타내는 " . "이 문자열 사이에 들어가면 판단하지 못하므로 False 값을 리턴합니다. 즉, -213540가 입력되거나 3.14159 등이 입력되면 False 값을 리턴합니다. .isdigit() 은 파이선 string 클래스에서 가져오는 메서드입니다. 함수가 아닙니다. 따라서 사용법이 이러면 안 됩니다. x = isdigit(y) s = input() # 랜덤 숫자 456 입력. if s.isdigit(): print("숫자 입니다!!") # 출력 else: print("숫자가 아닙니다!!") .isdigit() 은 문자열 안에서 숫자를 판단하는 메서드..

    유닉스 명령어, 명령 사용법 - Unix / Linux

    유닉스 명령어, 명령 사용법 - Unix / Linux

    유닉스의 기초 명령어, 명령의 구조 및 명령 사용법을 알아보자. 명령행 편집 방법 문자 지우기 - 명령행에서 문자를 지울 때는 백스페이스(←)를 이용한다. * 윈도우 기본사용에서와 같이 백스페이스 키를 눌러 글자 하나를 지워줄 수 있다. 단어 지우기 - 명령행에서 단어를 지울 때는 Ctrl + W를 사용한다. (단어는 공백으로 구분한다.) * "unix!!" 가 사라진것을 알 수 있다. 문장 지우기 - 명령행에서 문장을 지울 때는 Ctrl + U를 사용한다. (해당 행의 내용을 모두 삭제할 수 있다.) * 문장이 깔끔하게 지워진것을 볼 수 있다. 명령의 구조 유닉스 명령어의 구조는 다음을 따른다. 명령 [옵션] [인자] 1. 명령은 유닉스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다양한 명령이다. 2. 옵션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