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gk0404.tistory
![[컴퓨터네트워크] IPv4 주소 대역폭](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sBfNy%2FbtsI2G39B2I%2FmKSX6lEZn2IdEcljdfypS1%2Fimg.png)
[컴퓨터네트워크] IPv4 주소 대역폭
IPv4는 인터넷 상에서 고유한 공인 IP 주소를 사용하지 않고, 내부 네트워크에서만 사용되는 IP 주소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사설IP라고 불리며 특정한 대역폭을 가지고 있습니다. 1. 사설 IP 주소 대역폭 1. 10.0.0.0/8 범위는 10.0.0.0 ~ 10.255.255.255 입니다.cidr /8이므로 2, 3, 4 옥텟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총 32개 중 8개를 빼면 24가 되는데 2^24 = 16,777,216개의 IP주소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172.16.0.0/12 범위는 172.16.0.0 ~ 172.31.255.255 입니다.cidr는 /12이므로 2옥텟의 뒷 4자리와 3, 4 옥텟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32 - 12 = 20이므로 2^20 = 1,048,5..
![[NCP] NCP에서 VPC, 서브넷, 서버(인스턴스) 생성하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wPY3b%2FbtsI2dU9OeZ%2FybDFFftRy4F96nSI1f7ED0%2Fimg.png)
[NCP] NCP에서 VPC, 서브넷, 서버(인스턴스) 생성하기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Naver Cloud Platform) 줄여서 NCP라고 부릅니다. AWS와 Azure, GCP등 클라우드 CSP 3사가 국내에서 서비스를 시작하고, 점유율을 높게 유지하자 국내 IT 기업 네이버에서 만든 클라우드 서비스입니다. 네이버의 생성형 AI등 새로운 서비스가 NCP를 기반으로 실행되고 있습니다. 일본의 국민 채팅 서비스인 라인도 네이버 클라우드에서 서비스한다고 합니다. 8월 10일 토요일 역삼역 한국타이어 빌딩 11층에서 네이버 클라우드 관련 강의를 듣게 되어 관련 내용을 기록으로 남겨놓고자 합니다. 네이버 클라우드 마스터 "서태호"님이 진행해주셨으며 다른 마스터분들도 도움 주셨습니다! 1. VPC 생성하기 일단 VPC부터 생성해야 합니다. 서버(인스턴스)를 생..
![[AWS] SSH 인바운드 규칙 추가](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ZHawS%2FbtsI1vIKmSg%2F0TfcZWi4eKMA8OXx3Kf7y1%2Fimg.png)
[AWS] SSH 인바운드 규칙 추가
EC2 인스턴스가 콘솔에서 위의 버튼으로 접속이 안되서 아래와 같이 화면이 출력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 경우 EC2인스턴스가 속해 있는 보안그룹에 SSH 22번 포트가 닫혀 있는 경우일 수 있으니 다음과 같이 수정해 주시면 됩니다. AWS 콘솔 -> EC2 클릭 -> 왼쪽 메뉴바 아래에 있는 "네트워크 및 보안" -> "보안 그룹"선택 사진에서 보시면 프로토콜에서 SSH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바운드 규칙 편집을 눌러 들어가신 뒤 아래 사진과 같이 해주시면 됩니다 규칙 추가 -> 유형 "SSH" 선택 -> 소스 "Anywhere-IPv4" 선택 -> "규칙 저장" 클릭 설명은 선택사항이라 넣고 싶으면 넣으면 됩니다. 안되던 콘솔 창을 새로고침하면, 정상적으로 접..
[Terraform] 프로비저너와 사용자 데이터
테라폼을 이용한 리소스 생성 시 몇가지 작업들을 일괄적으로 해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사용자 데이터와 프로비저너를 이용하는 방법인데요 그 둘을 알아보고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해 볼까 합니다. 1. 사용자 데이터(user data) EC2 등의 원격 리소스에서 첫 부팅시 필요한 작업을 하기 위해서 사용됩니다. 부팅이 되면서 필요한 작업들을 일괄적으로 처리해주는 역할입니다. # main.tf for awsresource "aws_instance" "webserver" { ami = "ami-0edab43b6fa892279" instance_type = "t2.micro" tags = { Name = "webserver" Description = "An Nginx WebServer om ..
[Terraform] S3에서 상태 파일 업로드, 상태 파일 관리 명령어
1. 테라폼의 상태 파일 테라폼의 구성 파일(configuration)과 달리 상태 파일(terraform.tfstate)은 버전 제어 시스템(github)에 저장하지 않는 것이 권장됩니다. 왜냐하면 상태 파일은 인프라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민감한 세부 정보를 타인이 확인할 수 있어서 그렇습니다. 그래서 테라폼 상태 파일은 안전한 공유 저장소(S3, hashicorp cloud, google cloud storage, terraform cloud)에 저장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S3는 백엔드 옵션으로 상태 잠금을 지원합니다. 그래서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terraform 상태 파일을 변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같은 상태 파일에 접근해서 변경을 시도..
[Terraform] 테라폼으로 AWS DynamoDB 생성, 업로드(GSI)
1. dynamodb 생성 resource "aws_dynamodb_table" "cars" { name = "cars" hash_key = "VIN" billing_mode = "PAY_PER_REQUEST" attribute { name = "VIN" type = "S" }} dynamoDB 생성하는 리소스는 위와 같이 생겼습니다. 리소스 유형은 "aws_dynamodb_table"이 되고, 리소스 이름은 "cars"입니다. name은 실제로 dynamoDB의 이름이고 hash_key는 기본키(primary key)로서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hash_key는 속성(attribute)값이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여기서는 name = "VIN"으로 하고 typ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