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hgk0404.tistory

    [NCP] 쿠버네티스 콘솔로 생성(NKS)

    [NCP] 쿠버네티스 콘솔로 생성(NKS)

    NCP 콘솔을 이용해 쿠버네티스에 간단한 게임을 배포해보겠습니다.  미리할것)  1. 쿠버네티스 설치(mac) brew install kubectl  2. ncp cli 연결하기 https://hgk5722.tistory.com/562 ) ncloud 파일 실행이 안되었습니다. 그 문제를 해결한 과정을 정리하였습니다.   cli_linux 폴더 " data-og-host="hgk5722.tistory.com" data-og-source-url="https://hgk5722.tistory.com/562" data-og-url="https://hgk5722.tistory.com/562" data-og-image="https://scrap.kakaocdn.net/dn/0WFup/hyWSadA40p/T1HMbM..

    [NCP] ncp cli 맥에서 경로 설정하기

    [NCP] ncp cli 맥에서 경로 설정하기

    ncp cli로 쿠버네티스를 실행하려다 사용하던 linux_cli가 들어있는 폴더의 위치를 바꿨는데(Download -> ) ncloud 파일 실행이 안되었습니다. 그 문제를 해결한 과정을 정리하였습니다.   cli_linux 폴더 안에 있는 ncloud 파일을 vim ncloud를 통해 열면 아래와 같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실행이 안된다면 아래와 같이 자바랑 .jar 파일 경로를 바꿔야합니다.  #!/bin/bash/Library/Java/JavaVirtualMachines/temurin-17.jdk/Contents/Home/bin/java -jar /Users/ganghyeong-geun/Downloads/FIN_CLI_1.1.20_20240620/cli_linux/lib/ncloud-api-c..

    [NCP] NCP 로드밸런서 생성 및 연결

    [NCP] NCP 로드밸런서 생성 및 연결

    네이버 클라우드에서 로드밸런서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로드밸런서는 Application, network, network proxy가 있는데 이번엔 application loadbalancer만 만들어보겠습니다.  어플리케이션 로드밸런서는 HTTP, HTTPS를 사용하며 aws와 다르게 고정IP를 제공합니다.  구조)  구조는 프라이빗 서브넷에 있는 인스턴스를 타겟 그룹에 넣고, 로드 밸런서가 타겟 그룹을 지정해 로드 밸런서를 이용해 프라이빗 서브넷에 있는 인스턴스에 접근하는 방식입니다.  로드 밸런서 -> 타겟 그룹 -> 타겟(프라이빗 서브넷에 있는 인스턴스)    서브넷은 public 1개, private 1개, public-loadbalancer 1개를 만들어 줄겁니다.  어플리케이션 로드..

    [NCP] NCP CLI로 VPC, 인스턴스 접근하기(macOS)

    [NCP] NCP CLI로 VPC, 인스턴스 접근하기(macOS)

    네이버 클라우드도 aws처럼 cli가 있습니다. 터미널에서 코드로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다만 방식이 조금 다릅니다.   1. 명령어 확인을 위한 vpc 및 인스턴스 생성   어떤 인스턴스여도 상관없습니다. 마지막 연결 확인을 위해서 필요하니 생성해줍니다.   인스턴스 생성 [NCP] NCP에서 VPC, 서브넷, 서버(인스턴스) 생성하기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Naver Cloud Platform) 줄여서 NCP라고 부릅니다. AWS와 Azure, GCP등 클라우드 CSP 3사가 국내에서 서비스를 시작하고, 점유율을 높게 유지하자 국내 IT 기업 네이버에서 만든 클라hgk5722.tistory.com  인스턴스 생성은 위 글을 참고하시고 1~5번을 따라하시면 됩니다.(4번 Init Script는 필..

    [NCP] NCP Global DNS(도메인을 NCP 인스턴스와 연결하기)

    [NCP] NCP Global DNS(도메인을 NCP 인스턴스와 연결하기)

    가비아에서 구매한 도메인을 네이버 클라우드 Global DNS를 이용해 연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www.gabia.com/ 웹을 넘어 클라우드로. 가비아그룹웨어부터 멀티클라우드까지 하나의 클라우드 허브www.gabia.com  이 곳에서 자신이 원하는 이름의 도메인을 하나 구매합니다.  가격은 다양하니 여유에 맞게 고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가비아 이외에도 여러 도메인 구매 업체가 있는데 이벤트를 진행하는 경우가 있으니 비교해서 본인 상황에 맞게 선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1. VPC 생성  구매한 도메인을 인스턴스의 공용IP에 연결하는 것이 목적이니 인스턴스가 있어야 하고, 인스턴스를 생성하려면 VPC와 서브넷을 먼저 생성해야 합니다.  다음 글에서 1~6번까지 따라하시면 되겠습니다..

    [컴퓨터네트워크] 도메인, DNS, 네임서버(A, CNAME, MX 레코드)

    [컴퓨터네트워크] 도메인, DNS, 네임서버(A, CNAME, MX 레코드)

    도메인을 할당 받아 클라우드 인스턴스와 연결해 보려고 하다 가비아에서 1년 대여 받아 이것저것 해보려던 중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1. 도메인(Domain)  인터넷 상의 주소입니다. 웹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는 이름이며, google.com, naver.com 등이 있습니다.  원래는 IP주소를 입력해서 접속해야 하지만 사람이 쉽게 기억할 수 있도록 문자로 이루어진 주소를 대체해서 사용합니다.  2. DNS(Domain Name System)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해 주는 시스템입니다. 예를 들어 google.com의 IP주소가 "123.456.78.9"라 한다면 사용자는 인터넷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google.com을 입력하면 연결되어 있는 123.456.78.9로 ..